1.
팀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할 때가 있다. 그러면 그 다음 단계를 미리 경험해본 새로운 사람들로 구성된 혁명군이 필요하다.
a.
회사와 서비스가 아직 증명하기 전까지는 창업자가 혼자 다 해야 한다. 일 잘하고 능력있는 누군가가 도와줄 것을 기대하지 말 것.
b.
하나하나 증명해갈 수록, 팀은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c.
사람은 조직이 고쳐 쓰는 것이다. 다만, 메타인지와 성장욕구가 있는 마피아들만이 고쳐지면서 회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다.
d.
그러나 본질적으로 Proactive하지 않은 사람, 혹은 팀워크를 망가트리는 나르시스트는 절대 고칠 수 없다.
e.
결국 계속 목이 잘린 채 생각없이 일하는 사람들, 직장인 마인드로 일하는 사람들이 혁명군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된다.
2.
남의 길 따라가려는 생각 하지 마라, 참고는 될 수 있어도 기준은 될 수 없다.
a.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가는 전략을 가진 스타트업이 남의 길을 가장 강력한 기준으로 삼는 것은 초등학생에게 250mm짜리 지미추 구두를 신겨주는 것과 같다.
b.
강남언니의 디자인 원칙, 비트윈의 개발 스트럭쳐, 캐시워크의 전략, 알라미의 문화… 좋아 보이지만 이들의 Fast Follower가 아니라면 새로운 길을 가는 자들에게는 그들만의 길과 신발이 필요하다.
c.
길은 계속 다른 Phase를 맞을 것이고, 신발은 스스로 계속 진화시켜야 한다. 직접.
d.
그게 초기 스타트업의 가장 큰 묘미이자 챌린지일 것이다.
3.
모든 사람이 완벽할 수 없다. 그러기에 팀이 존재하는 것이다.
a.
그렇기에 평가가 아니라 진단해야 하며, 불만이 아니라 개선 제안이라도 필요한 이유다.
b.
또한 채용에서도, 강점이 우리 조직이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인지, 약점이 우리 조직이 고쳐쓸 수 있는 약점인지를 고려한다.
4.
원래 가능성은 아직 뭐 없는 거에서 나온다.
a.
시장을 봤고, 진입점을 봤다면, 아직 제품이 뭐 없어도 돈냄새따라 갈 수 있다.
b.
토스가 그랬고, 리멤버가 그랬고, 알라미가 그랬다.
c.
수수료 안받는 간편송금, 명합첩, 알람 앱. 누가 처음부터 금융과 HR과 아침을 처음부터 돈으로 정복했는가. 다들 시시하지만 습관적인 유틸리티였을 뿐이다.
5.
어떤 사업이든, 자본과 인재가 많은 시장, 고객의 주머니가 큰 시장, 기회가 많은 시장에서 해야 한다.
a.
한국의 스타트업 서부개척시대는 과언이 아니고, 늘 한국인은 가장 빠른 Second Follower로 트랜드 잘 읽기로 유명하다.
6.
필수적인 챌린지와 꼬리잡기는 다르다.
a.
DRI(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가 명확하게 지켜져야 한다. 그것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뷰에서 챌린지가 필수다.
b.
그리고 DRI의 경청능력 및 실무 전문성, 신뢰자산 또한 필수이다.
c.
그러나 꼬리잡기는 DRI를 무시하는 행위이다. 충분히 챌린지 하고, 의사결정권을 가진 사람이 책임지고 결정하면 무조건 따르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d.
챌린지와 꼬리잡기를 헷갈리는 사람이 보통 95%다.
7.
다시한번, 불편함을 받아들이자, 리소스의 부족함, 사람, 불확실성, 변화 모두.
a.
애초에 모든 것이 순탄하게 흘러가는 전쟁터는 없다. 회사는 시장을 점유하는 전쟁통의 막사다.
b.
또한 감독에 따라서 내 전술에 맞는 선수들을 기용할 수도, 선수들에 따라서 내 전술을 만들 수도 있지만, 보통 스타트업은 후자다. 그리고 그걸 잘 하는 사람이 진짜다.
8.
결국 리더는 이야기를 파는 사람이다.
a.
돈 버는 이야기, 재밌게 살아온 이야기, 팀원들의 이야기, 성장하는 이야기…
b.
용산 아이맥스에서 상영해야 할 이야기가 있고, 아트시네마에서 상영해야 할 이야기가 있다.
c.
펀드 성격에 맞게 IR하는 것, 사람의 특성에 맞게 매니징, 원온원하는 것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9.
조직 내에서 리더와 팔로워가 존재하지만, 모든 팀원들이 본인 인생에 대한 리더십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a.
주체적으로 일이라는 것에서 의미를 찾아갈 수 있고, 스스로 사고를 리딩할 수 있는 것이 인생에 대한 리더십이다.
10.
사람을 믿어야 한다. 잘.
a.
망하는 패턴만 피해도 성공한다. 보통의 초기 스타트업이 망하는 이유는 똑똑한 리더가 사람을 못믿어서 팀을 꾸리지 못할 때 100% 망한다.
b.
DRI를 설정하고 그 사람들이 의사결정 내릴 수 있도록 리더가 함께 해주는 것이 가장 좋은 믿음 아닐까.